[뉴스메이커] 신경림 시인 추모 행렬…"아기같이 순수했던 분"<br /><br />뉴스 속 주인공을 만나보는, 입니다.<br /><br />향년 89세의 일기를 끝으로 우리 곁을 떠난 한국 문단의 거목 신경림 시인에 대한 추모 물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신경림 시인은 서민들의 삶의 질곡을 누구보다 쉽고 소박한 생활 언어로 표현해 낸 한국의 대표 시인으로 꼽히는데요.<br /><br />신경림 시인의 삶이 보여준 위로와 감동을, 오늘의 뉴스메이커에서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"노인 속에 아기가 들어있는 사람이었다"<br /><br />신경림 시인을 아주 가까운 곳에서 수십 년 동안 봐온 지인은 이렇게 회고했습니다.<br /><br />한국 문학의 원로지만, 권위주의는 조금도 찾아볼 수 없는 순수한 분이었다고 말이죠.<br /><br />신경림 시인은 이런 순수함을 무기로, 평생 빈자와 노동자들의 삶을 대변해왔습니다.<br /><br />산업화로 황폐해진 농촌의 삶을 묘사한 '농무'와 한곳에 정착할 수 없는 민초의 애환을 그린 '목계장터'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데요.<br /><br />굴곡진 민중의 삶을 쉽고 따뜻한 언어로 위로해 온 것도 신경림 시인이 우리 문학의 역사에 남긴 선물이었습니다.<br /><br />"가난하다고 외로움을 모르겠는가 너와 헤어져 돌아오는 눈 쌓인 골목길에 새파랗게 달빛이 쏟아지는데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"<br /><br />여전히 많은 독자들이 즐겨 찾는 신경림 시인의 시 '가난한 사랑 노래'입니다.<br /><br />이웃 젊은이에 대한 묘사를 통해, 인간적 감정마저 허락하지 않는 냉혹한 시대상을 꼬집었는데요.<br /><br />신경림 시인은 이런 '리얼리즘'을 가장 앞에서 이끈 개척자란 평가를 받는데요.<br /><br />산업화로 무너져 가는 민중과 농민의 삶은, 그의 시에서 연민과 애정으로 승화됐습니다.<br /><br />평생을 "시 쓰는 것밖에 할 것이 없고 시 쓰는 것만큼 잘할 수 있는 게 없다"고 말해왔던 신경림 시인.<br /><br />그는 생전에 "평생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 수 있어 행복했다"고 했는데요.<br /><br />낮고, 작은 모든 이들의 옆에 시를 놓아준 한국 현대 시의 역사, 고 신경림 시인.<br /><br />비록 그는 떠났지만, 그가 남긴 삶과 시는 앞으로도 많은 이들의 삶에 위로와 감동이 되지 않을까요?<br /><br />지금까지 '뉴스메이커'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